재도전 정책화

[2022 실패박람회]에서는
국민과, 우리 공동체와 지역, 그리고 대한민국이 실패를 통해 성공을 향해 나아가도록 정책화를 진행합니다.

실패 극복, 재도전 정책화는 개인과 사회가 경험한 실패가 실패로 끝나지 않도록 사회 시스템을 만듭니다.
국민이 내신 의견을, 국민과 전문가가 함께 숙의/숙성하고, 이런 의견들은 의제가 되어 정책으로 검토됩니다.

[2022 실패박람회]는 실패 극복, 재도전의 실질적인 사회 자산을 만들어 내겠습니다.

정책화란 무엇인가요?

대의 민주주의에서는 국민이 직접 정책을 만들거나 행사하지 않고, 투표를 통해 정부나 의회를 구성하여
정책의 결정과 집행이 되도록 합니다. 즉 선거를 통해 대표자(국회의원, 지자체장, 지자체 의원 등)를 선발 후,
물론 의견을 전달할 수는 있으나 공식적인 정책화를 위한 시스템은 아닌 것입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정부부처/지자체에서 국민의 직접적인 의견이 정책이 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정책 제안 플랫폼, 숙의 토론, 마을공동체, 정책 제안 공모 등을 통해 국민들이 정책에 대한 직접적 의견을 내고
해당 내용을 숙의/숙성한 후 직접적인 정책으로 만들어지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께서 직접 제안을 하고, 그 의견이 숙의/숙성되어, 정책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실패박람회에서 왜 정책화를 진행하나요?

국민 개개인, 공동체, 지역, 나아가 대한민국 국가 차원에서도 수많은 실패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실패는 끝이 아닌 성공의 중요 자산이자 과정입니다.

경험된 수많은 실패가, 실패로 끝나지 않고 자산이 되어 국민의 삶을 더 나아지도록 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실패박람회는 단순한 행사가 아닌, 실패 극복과 재도전에 대한 실질적인 방법과 정책을 만들고자 합니다.

국민께서는 직접 실패 극복, 재도전에 대한 다양한 정책 의제를 제안하고,
이러한 내용은 숙의/숙성되어 국민의 삶, 우리 사회, 대한민국의 성공을 위한 정책으로 만들어질 것입니다.

지역별

유형별

정책화 현황

의제화
0
정책화
0
  • 번호
  • 지역
  • 유형
  • 단계
  • 의제명
  • 기관명